안전사고 근절의 핵심은 문제가 발생하는 초기 단계부터 선제적 대응을 해 안전을 책임지는 일이라 할 수 있다.
이제 안전을 보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고, 체계보다는 실행에 집중된 안전활동이 필요하다는 의미다.
또한 I-CARE는 고객사 실정에 맞는 접근 방법을 강구한다.
협력사를 포함한 작업 내용과 조직구성원의 특성, 경험 수준, 업의 특성과 조직문화 등을 고려한 활동 방법을 적용한다.
I-CARE 안전진단의 첫 번째는 고객사의 안전사고 사례를 분석하는 일이다.
재해의 유형과 추이, 근본 원인과 조치된 결과를 파악해 안전사고가 어떻게 발생하고 대책이 만들어져
효과를 내고 있는지 파악한다.
두 번째는 현장 안전활동 현황을 조사한다. 고객사의 단위 조직 별 안전활동 현황과 안전활동과 규정의
실질적인 운영실태를 파악하고, 지켜지지 않거나 지켜내기 어려운 다양한 현상과 원인을 파악한다.
세 번째는 안전경영 체계 구성을 살핀다. 안전활동 프로그램, 목표 및 성과지표들을 조사하고, 관련된 안전투자나
프로세스 변경들을 파악한다.
I-CARE 안전진단은 궁극적으로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새로운 안전에 대한 방향과 실천과제를 도출하고,
이를 전 조직구성원과 공감해 안전을 보는 새로운 시각과 실천방안을 합의하는 과정이다.
현장의 긍정적인 참여와 현장 스스로 위험을 인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강한 안전 실행력을 바탕으로
다시 안전활동을 추진해야 한다.
기사 원문 : http://www.econovill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73651
Comments are closed.